PPI 발표 총정리 (2025-09-10) — 금리인하 물씬?
한눈에 보는 핵심
- 헤드라인 PPI(최종수요): -0.1% m/m (7월 +0.7%에서 급둔화), +2.6% y/y. Bureau of Labor Statistics+1
- 서비스 물가: -0.2% m/m (무역서비스 마진 -1.7%가 하락 주도). 상품 물가: +0.1% m/m. Bureau of Labor Statistics
- 식품·에너지·무역서비스 제외(일명 ‘코어코어’): +0.3% m/m(4개월 연속 상승), +2.8% y/y(올해 3월 이후 최대 12개월 상승률). Bureau of Labor Statistics
- 발표 직후 시장: 달러 약세, 단기금리 하락, 증시 상승(레코드 갱신 보도). Reuters+1
디테일 해설
1) 왜 헤드라인이 -0.1%로 내려갔나
이번 하락은 **서비스 물가 -0.2%**가 핵심입니다. 그중에서도 **도·소매 마진(무역서비스)**이 **-1.7%**로 크게 내려 앉으며 전체를 끌어내렸고, 반대로 운송·창고(+0.9%), **무역 제외 서비스(+0.3%)**는 상승했습니다. 상품은 **+0.1%**로 보합에 가까웠고, 세부적으로 식품 +0.1%, 에너지 -0.4%, **식·에 제외 +0.3%**로 엇갈렸습니다. Bureau of Labor Statistics
2) 코어코어는 왜 +0.3%인가
PPI에서 자주 보는 ‘식품·에너지·무역서비스 제외’ 지표는 변동성이 큰 품목을 덜어낸 측정치예요. 8월 +0.3% m/m로 4개월 연속 상승, **y/y +2.8%**까지 올라 기저 물가 압력은 완만하지만 여전히 남아 있음을 시사합니다. Bureau of Labor Statistics
3) 중간재(Intermediate Demand) 신호
공급단 뿌리에 해당하는 가공재 +0.4%, 비가공재 -1.1%, 중간재 서비스 +0.3%. 원자재 측면의 완화(비가공재 하락)와 일부 가공·서비스 비용 상승이 엇갈린 신호를 줍니다. Bureau of Labor Statistics
연준·시장에 의미하는 바
- 매파 신호 완화: 헤드라인 **-0.1%**는 컨센서스(+0.3%) 대비 부드러운 물가. 정책 완화(금리인하) 기대가 커지는 배경입니다. 다만 코어코어 +0.3% m/m는 바닥을 다지는 물가 압력도 공존함을 보여줍니다. Bureau of Labor Statistics
- 실시간 반응: 보도 기준으로 달러 약세·단기금리 하락·주가 상승(S&P 500·나스닥 강세) 흐름이 관측되었습니다. 물가 서프라이즈 둔화 → 금리 인하 베팅 강화의 전형적 반응입니다. Reuters+1
체크리스트 (트레이더·투자자용)
- 헤드라인 vs 코어 지표를 함께 보기: -0.1%(헤드라인) ↔ +0.3%(코어코어)
- 서비스-무역마진 추세: 마진 변동은 PPI 서비스의 핵심 드라이버
- 중간재 흐름: 비가공재 하락이 이어지면 헤드라인 완화 재현 가능
- 다음 데이터: CPI 발표와 FOMC 결과(완화 전환 속도)
- 포지션 관리: 금리민감주·달러·채권듀레이션, 이벤트 리스크 분할
표·메모
- PPI 최종수요: -0.1% m/m, +2.6% y/y
- 서비스: -0.2% m/m(무역서비스 마진 -1.7%)
- 상품: +0.1% m/m(식품 +0.1%, 에너지 -0.4%, 식·에 제외 +0.3%)
- 코어코어: +0.3% m/m, +2.8% y/y
(모두 2025년 8월, 계절조정/해당 항목 기준) Bureau of Labor Statistics+1
출처
- BLS 공식 보도자료(8월 PPI): 헤드라인·세부 항목·코어코어 수치. Bureau of Labor Statistics+1
- 시장 반응 보도(로이터): 주가·환율·금리 방향 요약. Reuters+1
'재태크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인제약 공모주 증거금 청약 완벽 가이드 📈 (0) | 2025.09.18 |
---|---|
📱 캐시워크 정답, 앱 다운로드부터 정답 찾는 방법 & 자주 나오는 유형까지 (0) | 2025.09.15 |
IonQ (IONQ) Stock Analysis (0) | 2025.09.13 |
아이온큐(IONQ) 주식 분석 (1) | 2025.09.13 |
전원주 금테크 & 금시세 전망 (1g = 165,110원 기준), 세븐 스플릿 (0) | 2025.09.10 |
“국민성장펀드 상장지수펀드(ETF)” 수혜테마주 한 번에 이해하기: 왜 핫하고, 어떻게 접근할까 (1) | 2025.09.10 |
엔캐리 블랙스완 둠스데이, 그리고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가 위험한 이유 (1) | 2025.09.05 |
페이코인(PCI) 2025년 9월 30% 할인 이벤트 & 가맹점 확대 현황 총정리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