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 매매

업비트 호가 단위 변경에 따른 호가창 자동매매 기회 포착

업비트 호가 단위 변경에 따른 호가창 자동매매 기회 포착

2025년 8월, 업비트는 조용하지만 매우 의미 있는 시스템 개편을 단행했습니다. 기존 100원대 코인의 호가 단위를 0.1원에서 1원으로 변경한 것인데, 이는 단순한 UI 변경 이상의 시장 구조 변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작은 변화는 단타 매매 전략, 호가창 기반 매매, 자동매매 알고리즘을 운용하는 트레이더들에게 크나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업비트 호가 단위 변경에 따른 호가창 자동매매 기회 포착

💡 왜 100원대 호가 단위 1원이 중요한가?

기존에는 호가가 너무 촘촘했습니다. 예를 들어 120.1원, 120.2원… 이런 식의 촘촘한 호가는 단타 수익률이 제한되고, 주문 우선순위 경쟁이 치열해지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1원 단위 호가 간격이 되면, 종목당 한 틱(Tick) 이동 시 수익률이 훨씬 높아집니다.

  • 120원 → 121원 : 단 1틱(1원) 이동에도 약 +0.83% 수익률
  • 100원 → 101원 : 무려 +1.0% 수익률 확보 가능

이러한 한 틱 수익률의 상승은 자동매매나 수동 단타에 있어 매우 유리한 구조로, 단순히 ‘빠르게 팔고 빠르게 사는 전략’만으로도 의미 있는 수익이 가능해집니다.


📊 거래대금 기준 100원대 유망 종목 정리

실제 업비트 2025년 8월 6일 기준으로 100원대에 위치하면서 거래대금이 높은 주요 코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종목명    (심볼)                                                                                  현재가 (원)      전일대비 (%)     거래대금 (백만 원)
1 사하라에이아이 (SAHARA/KRW) 120 0.00% 29,067
2 보라 (BORA/KRW) 129 -2.27% 5,882
3 블러 (BLUR/KRW) 112 -0.88% 5,163
4 무브먼트 (MOVE/KRW) 178 -0.56% 5,639
5 모카네트워크 (MOCA/KRW) 96.9 -1.32% 2,442
6 더그래프 (GRT/KRW) 125 -0.79% 2,539
7 크로노스 (CRO/KRW) 194 -1.02% 2,176
8 피스네트워크 (PYTH/KRW) 156 -0.64% 1,734
9 아더 (ARDR/KRW) 131 -0.76% 1,549
10 윔플 (WIK/KRW) 106 -1.85% 1,414
 

👉 이러한 종목은 호가 간격은 충분하고 거래량도 풍부하기 때문에, 알고리즘 기반 호가창 매매 전략 시도에 매우 적합합니다.


🧠 호가창 기반 매매 전략: 어떻게 접근할까?

호가창 기반 매매는 단순히 "올랐다 내렸다"를 보는 것이 아닙니다. 실시간 매수/매도 대기 주문, 즉 호가의 움직임과 체결 강도, 잔량 추이, 호가 갱신 속도 등을 종합 분석해 ‘세력의 흐름’을 추적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전략 유형

  1. 잔량 불균형 추적
    • 매수 잔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매도 잔량은 줄어드는 경우
    • "누가 밀어올리고 있다"는 신호로 판단하고 따라붙음
  2. 호가 갭 진입
    • 매도 1호가와 매수 1호가 사이 갭이 넓어지는 순간을 포착
    • 주문 속도 우위를 활용해 빠르게 체결 후 청산
  3. 매물벽 돌파 전략
    • 특정 호가에 대규모 매도 물량(매물벽)이 형성된 뒤
    • 돌파가 발생할 경우 상승 탄력 발생 확률 ↑
  4. 틱 단위 반사 전략
    • 매수세가 1틱 올릴 때마다 자동 매도
    • 틱별 수익 실현 전략 (0.8~1.2% 스프레드 확보)

🤖 자동매매 전략으로 발전시키기

호가창 기반 전략은 수동으로 반복 실행하기엔 한계가 있어, 파이썬 기반 자동매매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특히 pyupbit, ccxt, 또는 selenium 기반으로 구현이 가능합니다.

  • 주요 요소:
    • 실시간 호가창 데이터 수집 (websocket 사용 추천)
    • 호가 갱신 주기/잔량 비율 비교
    • 조건 충족 시 지정가 주문 자동 제출
    • 체결 확인 후 자동 익절/손절 로직

✅ 자동화 시 매수-매도 스프레드 타이밍을 놓치지 않게 되며, 사람이 보기 어려운 빠른 움직임에도 대응 가능해집니다.


🆚 빗썸·바이낸스와 비교 분석

항목업비트빗썸바이낸스 (선물)
호가 단위 1원 (100원대 기준) 1원 0.001 USDT 등
API 자유도 제한적 자유로움 매우 자유로움
시장 구조 유동성 풍부 / 실명인증 필요 거래 적음 / 국내 특화 글로벌 중심, 고속체결
전략 적합도 단타 + 호가 전략에 적합 저변동 장기 매매 고레버리지 단타 전략에 적합
 

📌 업비트는 최근 호가 단위 조정으로 인해 빗썸 대비 단타 전략의 실효성이 더 높아진 상황입니다.


🔎 실전 적용 케이스

예를 들어, BORA/KRW가 128원에 대규모 매수 잔량이 형성되고, 매도 물량이 빠르게 줄어들면서 129원에 돌파가 일어난 경우:

  • 128원에 매수 진입
  • ✅ 체결 후 바로 130원에 지정가 매도
  • 🔁 스프레드 수익 약 +1.56%

이러한 구조는 하루 10회 이상 발생 가능하며, 체결 속도와 스프레드 관리만 잘된다면 하루 누적 수익률 5~10%도 실현 가능한 매우 강력한 전략입니다.


⚠️ 유의사항 및 리스크 관리

  • 슬리피지 주의: 유동성이 줄어드는 새벽 시간에는 호가가 비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지속성 리스크: 1~2회 체결로 수익을 보더라도 지속 반복 가능한지 반드시 검증해야 합니다.
  • API 지연 리스크: 업비트 API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웹 기반 selenium 조작 등 보완 필요
  • 하락장 리스크: 비정상적 물량 증가나 휩쏘(속임수 움직임)에 주의해야 합니다.

📈 장기 전략 전환은 가능할까?

이 전략은 본래 단기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만, 분할매수 기반의 손절 없는 중기 전략으로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주요 지지선에서 호가 매물대 집중 관찰 후 분할매수, 이후 수익권에서 1틱씩 자동 청산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결론: 100원대 호가 단위 변경은 실전 기회의 시작

이번 업비트의 호가 단위 1원 변경은 시장 참여자에게 있어 단순 개선 이상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거래대금이 많고, 체결 강도가 활발한 100원대 종목들을 대상으로 호가창 기반 매매 전략을 활용한다면, 단타든 자동매매든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느린 종목보다, 단가가 낮고 반응이 빠른 종목이 자동매매에 더 유리하다는 점에서, 이 변화는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