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리움 가격 전망, 역사적 신고가 돌파! 박스권 돌파와 엘리어트 목표가 전망
이더리움(ETH)은 드디어 원화 기준 역사적 신고가를 돌파했습니다. 차트 상 오랜 기간 저항으로 작용하던 박스권 상단을 뚫고 올라간 지금은 단순한 상승이 아닌 새로운 랠리의 출발점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더리움의 목표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박스권 돌파 관점
차트에서 확인되는 주요 박스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박스 저점: 208만원
- 박스 고점: 590만원
- 박스 크기: 382만원
기술적 분석에서는 박스권을 돌파하면 동일한 박스 크기만큼 위로 목표가가 형성된다고 봅니다.
👉 따라서 목표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972만원 = 590만원(기존 박스 상단) + 382만원(박스 크기)
즉, 단순 산술적 관점에서 약 1,000만원에 근접하는 목표가가 도출됩니다.
2️⃣ 엘리어트 파동 관점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시장의 상승과 하락을 다섯 개의 파동으로 설명합니다. 이번 상승은 강력한 3파 진행 중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1파의 크기를 기준으로 피보나치 확장 비율을 적용합니다.
- 1파 길이: 약 382만원
- 확장 비율: 1.618배, 2.618배
이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목표가가 나옵니다.
- 1차 목표가: 826만원 (1.618배 확장)
- 2차 목표가: 1,207만원 (2.618배 확장)
즉, 단기적으로는 800만원대 돌파 가능성이 열려 있고, 강한 랠리가 이어질 경우 1200만원 이상까지 상승 여력이 존재합니다.
3️⃣ 박스권 vs 엘리어트 목표가 비교
박스권 돌파 산술 분석 | 박스 크기(382만원) + 박스 상단(590만원) | 972만원 |
엘리어트 파동 1차 | 1.618배 확장 | 826만원 |
엘리어트 파동 2차 | 2.618배 확장 | 1,207만원 |
👉 종합적으로, 중기 목표가는 826만~972만원, 강세장이 이어질 경우 1,200만원 돌파도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4️⃣ 기술적/펀더멘털 종합 해석
- 기술적 측면:
- 장기 이동평균선(100일선)을 크게 상회
- 월봉 신고가 갱신 → 장기 추세 전환 확인
- 강력한 거래량 동반 → 수급 뒷받침
- 펀더멘털 측면:
- 비트코인 ETF 자금 유입 효과 확산
- 이더리움 스테이킹과 공급 감소 구조
- 레이어2 생태계(아비트럼, 옵티미즘 등) 확장
✅ 결론
이번 이더리움의 신고가 돌파는 단순한 급등이 아니라 장기 추세 전환의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800만 원대 초반 돌파 여부
- 중기적으로는 972만 원
- 장기적으로는 1,200만 원 이상
까지 열려 있는 강세장이 펼쳐질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라면 조정 구간에서도 큰 흐름을 놓치지 말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는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또한, 이더리움 폭발적 상승 시 이더리움 계열의 유망한 알트들에 대해서도 이전 글에 써 두었으니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는 시점입니다.
https://1goldkyu.tistory.com/56
이더리움 진영 알트코인 손익비 전략(ETC, ENS, AAVE)
이더리움 진영 알트코인 손익비 전략(ETC, ENS, AAVE)최근 비트코인의 강한 반등(일명 ‘비트코인 슛팅’) 이후, 알트코인 시장에도 의미 있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거래량 비율이 평소 대비
goldkyu.com
https://1goldkyu.tistory.com/57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적 거래량과 대시세 종목, 이더리움 레이어2 옵티미즘(OP) (0) | 2025.08.23 |
---|---|
이더리움 진영 알트코인 손익비 전략(ETC, ENS, AAVE) (0) | 2025.08.23 |
중국 코인 대표 프로젝트 5종 및 차트 분석 (QTUM, ONG, NEO 포함) (2) | 2025.08.22 |
퀀텀(QTUM) 차트 분석 – 중국 코인 메타와 손익비 관점에서 보는 전략 (0) | 2025.08.22 |
중국 코인 상승 이유 3가지와 대표 프로젝트 5종 (네오·가스·온톨로지·비체인·퀀텀) (0)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