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너보스(CKB) 코인 분석 — “주봉 최대거래량 고점 20.86원”이 열리면?

너보스(CKB) 코인 분석 — “주봉 최대거래량 고점 20.86원”이 열리면?

한눈 요약

  • 오늘 빗썸 거래량 비율 1위(첨부표 기준). 거래대금도 동반 증가 → 단기 모멘텀 양호.
  • 주봉상 최대 거래량이 터진 캔들의 고점 = 20.86원: 장기 박스 상단이자 ‘대시세 라인’. 이 구간 상향 돌파·안착 시 추세 가속화 가능.
  • 일봉: 7·30일선이 말아 올리며 100일선(≈6.31원) 지지 + 골든크로스 진행 중.
  • 메타/호재 포인트: 비트코인 L2 지향의 RGB++ 노선, 양자내성(SPHINCS+) 지갑/락스크립트 개발, 반감기 사이클(4년 주기). 다만 L2(고드워큰)·브리지 단계적 종료 등은 전환기 리스크. Nervos Network+1Nervos Talk+2Nervos Talk+2docs.nervos.org

1) CKB 프로젝트 개요

너보스 네트워크(Nervos Network)의 기본 레이어인 CKB(Common Knowledge Base)UTXO 기반 L1으로, 셀(Cell) 모델과 RISC-V 기반 CKB-VM을 통해 범용 확장성을 지향합니다. 최근에는 비트코인 확장을 전면에 내세워, RGB++·UTXO Stack·CKB Lightning 등의 로드맵으로 BTC 생태와의 결합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Nervos Network

RGB++ 한 줄 이해

RGB++은 비트코인 UTXO와 CKB 셀을 등형 결합(isomorphic binding) 으로 묶어 브리지 없이 자산을 운용하려는 설계입니다. 이는 기존 RGB의 한계를 보완하며, 비트코인 보안은 유지하고 CKB에서 계산을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2025년에는 Fiber Network가 가동되며 RGB++ 자산의 초저비용 결제 라우팅(라이트닝 호환)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Nervos NetworkBinance

보안/연구 쪽 모멘텀

커뮤니티 주도로 SPHINCS+ 기반 양자내성(포스트퀀텀) 지갑/락스크립트가 공개되고, 관련 개발 로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장기 보관·보안을 중시하는 사용자에게 차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Nervos Talk+1

발행·반감기

CKB는 4년 주기 반감기가 설계되어 있으며(직전 반감 2023년 11월), 다음 반감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장기 사이클 상 공급 감소 모멘텀을 다시 맞게 됩니다. docs.nervos.orgCKBdapps

전환기 리스크(사실 체크)

레거시 인프라인 Force Bridge·Godwoken은 2025년 6월부터 단계적 종료(sunset) 절차를 공지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L2 중심의 재편과 결을 같이하지만, 이행 기간의 혼선은 가격/심리에 변수입니다. 2025년 1분기 RGB++ 온체인 사용지표 둔화도 확인됩니다(거래건수·주소수 감소). Nervos TalkMessari

 

25년 6월 경 투자 유의 촉구

투자 유의 촉구주체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국내 주요 거래소 연합 DAXA
주요 이유 Force Bridge(브릿지) 관련 보안 취약점 및 해킹 사고
파급 가능성 거래 제한, 경고 공지, 투자심리 위축 등
현재 상황 요약 투자 유의 공지는 실재하며, 투자 전 보안 이슈와 거래소 정책 리스크를 함께 고려해야 함

2) 차트 체크(첨부 차트 기준)

주봉 — “20.86원”이 핵심

  • 주봉 최대거래량이 발생한 24년 초 캔들의 고점 = 20.86원: 다년 박스 상단이자 과거 대규모 매물 소화의 분수령.
  • 전략 시사점:
    • 돌파형: 20.86원 상향 돌파 후 주봉/일봉 마감까지 유지 + 거래대금 폭증 시 추세 전환 확률↑.
    • 1차 중간 관문으로 100주선(≈13.27원) 부근 매물 소화 여부도 점검.

일봉 — 골든크로스·100일선 지지

  • 7일선↑ 30일선↑ 정배열로 골든크로스 진행.
  • 100일선(≈6.31원) 을 수차례 확인한 지지 흐름.
  • 리스크/무효화: 100일선 이탈 후 거래량 동반 하회(종가 기준) 시 단기 시나리오 무력화 가능성.

오늘은 빗썸 거래량 비율 1위이자 거래대금 동반 증가가 확인되어 단기 모멘텀+. (사용자 제공 표·차트 기준)


3) 트레이딩 시나리오(예시, 투자 권유 아님)

  • 돌파 매매
    1. 20.86원 상향 돌파 → 2) 일봉 마감 유지 & 20일 평균대비 거래대금 2배+ → 3) 분할 추격.
    • 손절/축소: 돌파 실패 후 해당 구간 재하락·거래 급감 시 빠른 축소.
  • 눌림 매수
    • 7~8원대 박스 하단부(100일선 부근)에서 거래량 감소 + 캔들 전환 확인 시 분할 접근.
    • 무효화: 6.1원 일봉 종가 이탈 지속 시 관망.

4) “메타” 정리 — 왜 지금 CKB를 보는가

  • BTC 친화 메타: RGB++/UTXO Stack/CKB Lightning 로드맵 → BTCFi 서브웨이브에서 주목받을 가능성. Nervos Network
  • 수수료·결제 메타: Fiber Network로 라이트닝 호환 다중홉 결제 엔진 실사용 실험이 진행 중. Binance
  • 보안 메타: SPHINCS+ 등 양자내성 연구 및 지갑 구현 → 차별화 포인트. Nervos Talk+1

단, 레거시 L2/브리지 종료RGB++ 실제 트랜잭션 지표 둔화는 “아직은 전환기”임을 의미. 모멘텀은 뉴스/서사보다 실사용 데이터가 따라올 때 지속됩니다. Nervos TalkMessari


마무리

지금의 CKB는 단기 모멘텀(거래대금·비율↑)중장기 서사(BTC L2·양자내성·반감기) 가 공존합니다. 기술적으론 20.86원이 가장 중요한 분기점이며, 13.27원(100주선), 6.31원(100일선) 을 체크포인트로 두고 시나리오별로 대응하는 접근이 합리적입니다.
투자는 언제나 리스크 관리가 우선입니다. 위 내용은 정보 공유일 뿐,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