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옴니 네트워크(Omni Network) 코인, 국내는 왜 40% 이상 싸게 거래될까? — 노미나(Nomina) 스왑과 김치프리미엄까지 총정리

옴니 네트워크(Omni Network) 코인, 국내는 왜 40% 이상 싸게 거래될까? — 노미나(Nomina) 스왑과 김치프리미엄까지 총정리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Omni Network(옴니 네트워크, 티커 OMNI) 의 가격 괴리가 크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거래소에서는 약 3,400원, 반면 바이낸스에서는 약 5,900원(테더 김프 포함) 에 거래되고 있죠.
무려 40% 이상 저평가된 상황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요?
단순히 “국내가 싸다”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 그 이면에는 토큰 스왑 리스크와 김치프리미엄 구조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 1. Omni → Nomina 토큰 스왑 개요

Omni Network는 2025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프로젝트명 ‘Nomina(NOM)’ 으로 리브랜딩을 진행 중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OMNI 토큰은 Nomina(NOM) 토큰으로 스왑(교체) 되며,
스왑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OMNI = 75 NOM

즉, 보유 중인 1개의 OMNI는 자동으로 75개의 NOM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
이미 Binance, OKX, Phemex 등 주요 해외 거래소는 스왑 지원 일정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거래소스왑 관련 일정
Binance 9월 29일 OMNI 거래 중단 → 10월 1일 NOM 거래 개시
Phemex 9월 26일 입출금 중단 → 스왑 후 NOM 상장
OKX / Gate.io 9월 말~10월 초 순차 스왑 지원

반면, 국내 거래소(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아직 스왑 지원 공지를 내지 않았습니다.
이게 바로 지금의 “가격 괴리”의 핵심 원인입니다.

 

 


⚠️ 2. 국내 OMNI가 싸게 거래되는 이유

현재 국내 OMNI 약 3,400원, 바이낸스 OMNI 약 5,900원(테더 김프 포함) 수준으로,
약 42%의 가격 차이(디스카운트) 가 존재합니다.

구분단가(원)환산 기준비고
🇰🇷 국내 거래소 3,400 원 KRW 마켓 스왑 미지원 리스크 반영
🌍 바이낸스 4.1 USDT × 1,430 KRW = 5,860 원 테더 김프 포함 스왑 지원 확정 거래소
💱 김프(USDT) 1 USDT = 1,430 KRW (+9~10%)   국내 달러 고평가 상태

🔍 주요 원인 분석

  1. 스왑 지원 불확실성
    • 국내 거래소가 스왑을 공식 지원하지 않으면,
      국내 OMNI는 “옛 토큰(폐지된 계약주소)”이 되어 거래 불가.
    • 즉, 스왑 미지원 시 “휴지조각 리스크” 존재.
  2. 출금 제한 리스크
    • 스왑 직전 입출금이 막히는 경우,
      국내에서 산 OMNI를 해외 거래소로 옮겨 스왑 받는 것도 불가능.
  3. 김치 프리미엄(USDT 가격 반영)
    • 현재 1 USDT = 약 1,430원 수준으로,
      실제 달러 대비 9~10% 높은 가치.
      해외 가격을 원화로 환산할 때 자동으로 “김프” 포함 상승.
  4. 유동성 부족
    • OMNI의 국내 거래량이 낮고, 신규 매수세 거의 없음.
      스왑 전 불확실성으로 거래가 얇음.

 

 


💱 3. 김치프리미엄까지 고려한 실제 괴리율

김프를 반영해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해외 OMNI (4.1 USDT × 1,430원) ≈ 5,860원
국내 OMNI ≈ 3,400원

👉 괴리율은 (5,860 - 3,400) / 5,860 ≈ 42%

즉, 국내에서는 약 42%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셈입니다.
다만, 이건 “스왑 미지원 가능성”이라는 리스크 프리미엄이 완전히 반영된 상태이기도 합니다.


🔒 4. 국내에서 싸게 사두면 될까?

겉보기엔 “싸다 → 스왑되면 차익”처럼 보이지만,
현재로선 매우 위험한 전략입니다.

전략설명리스크
✅ 해외 거래소(바이낸스 등)에서 매수 스왑 자동 지원 안전
⚠️ 국내에서 싸게 매수 후 출금 시도 출금 막히면 스왑 불가 중간 위험
❌ 국내에서 매수 후 그대로 보유 스왑 미지원 시 토큰 사라질 가능성 매우 위험

따라서 국내 거래소가 NOM 스왑을 공식 지원하기 전에는 절대 매수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5. 향후 시나리오

1️⃣ 국내 거래소가 스왑 지원 공지 발표

  • 가격 괴리 해소 → 국내 OMNI 급등 가능
  • 3,400원 → 5,000~6,000원 수준 회복 예상

2️⃣ 스왑 미지원 확정

  • 국내 OMNI 거래중단 → 0원(폐토큰) 위험
  • 투자자 손실 발생 가능성 큼

3️⃣ 출금 지원 후 해외 스왑 가능

  • 시기상 제한적 (스왑 직전 막힐 가능성 큼)
  • 실시간 대응 필요

🧭 6. 결론

  • 현재 국내 OMNI(3,400원) 은 “싸다기보다 리스크를 반영한 가격”입니다.
  • 바이낸스 가격(5,900원) 은 스왑 완료 후 NOM의 미래 가치를 반영하고 있죠.
  • 김치프리미엄(1USDT≈1,430원)을 고려해도 괴리율은 약 42% 수준이며,
    이는 스왑 불확실성과 유동성 리스크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입니다.

👉 결론적으로,
국내 거래소가 NOM 스왑을 공식 발표하기 전까지는 단순 저가매수 전략은 절대 금물입니다.
공식 스왑 공지가 나오면 괴리율이 빠르게 해소될 것이므로,
그 시점에 대응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 추가 팁

  • 스왑 일정, NOM 상장 일정, 김프 변동률을 매일 확인하면 시장의 심리를 읽을 수 있습니다.
  • 특히 국내 거래소 공지가 뜨는 순간 — 괴리율 해소로 인해 단기 급등 트리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