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븐 스플릿 투자법에 이은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피보나치 0.5 구간에 근접하다
최근 환율 시장은 투자자들에게 주식, 코인과는 또 다른 기회와 리스크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박성현 투자자의 세븐 스플릿 전략이 자산 배분과 분할 매수/매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이를 환율 시장에 접목하여 **원·달러 환율(USD/KRW)**의 향후 흐름을 짚어보겠습니다.
1. 원·달러 환율의 지난 1년 흐름
지난 1년간 원·달러 환율은 저점 약 1300원에서 출발해 단기적으로 큰 상승을 보이며 고점 약 1500원까지 터치했습니다. 이후 다시 조정을 거쳐 현재는 139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즉, 1년 동안 환율은 200원 폭의 박스권을 오가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흐름을 보여왔습니다.
2. 피보나치 되돌림 관점에서 본 환율
기술적 분석에서 자주 활용되는 피보나치 되돌림은 주요 고점과 저점 사이의 되돌림 구간을 계산해, 지지와 저항을 예측하는 도구입니다.
- 고점(1년 기준): 약 1500원
- 저점(1년 기준): 약 1300원
- 피보나치 0.5 구간: 약 1400원
현재 환율은 1390원대로, 피보나치 0.5 지점에 근접해 있습니다. 이는 상승과 하락이 팽팽하게 맞서는 분기점에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시나리오별 전망
① 1400원 돌파 시
피보나치 0.618 구간(약 1423원)을 향한 추가 상승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는 글로벌 달러 강세 흐름이 이어질 경우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② 1400원 돌파 실패 시
반대로 저항에 막혀 다시 1375원 부근으로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구간은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③ 큰 추세 전환 신호
만약 1300원대 초반을 다시 테스트하게 된다면, 이는 원화 강세 전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국내 자산시장(주식·채권·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세븐 스플릿 투자법과 환율 대응
세븐 스플릿 전략을 환율 투자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① 1400원 부근에서는 분할 매도(달러 보유자) 전략
- ② 1370원대 하락 시에는 분할 매수(달러 필요자) 전략
- ③ 급등·급락 구간에서는 심리적 안정을 주는 분할 접근이 효과적
즉, 특정 가격을 단정 짓기보다는 여러 구간을 나눠 대응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5. 결론: 환율은 지금 ‘균형의 축’ 위에 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은 피보나치 0.5 구간인 1400원 근처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미 연준의 금리 정책, 국내 외환 수급 등 대외 변수에 따라 단기적인 움직임은 달라질 수 있으나, 기술적 분석상 중요한 분기점에 와 있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세븐 스플릿 투자법의 핵심은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적인 대응입니다. 환율 시장 역시 단기 예측보다는 구간별 대응 전략이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따라서 이번 환율 국면은 투자자들에게 다시 한번 분할 투자와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세븐 스플릿 전략 이전 글은 아래 링크로 남겨 둡니다.
https://1goldkyu.tistory.com/35
👉 다음 글에서는 환율이 코스피, 나스닥, 비트코인 등 다른 자산시장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고 움직이는지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재태크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미래적금 총정리 – 가입조건부터 혜택까지 (0) | 2025.09.02 |
---|---|
PCE 발표 이후 안전자산 선호, 금시세 1돈 가격 향후 전망 및 엘리어트 파동 분석 (2) | 2025.08.30 |
PCE, 예상치 부합 — 큰 변동은 없지만 ‘월초·주초 관망 시기’ (2) | 2025.08.29 |
청년도약계좌, 지원 종료 소식과 가입 조건 총정리, 이율 9%대 서둘러 가입해야 (4) | 2025.08.29 |
채무조정제도 신청 요건 총정리 (1) | 2025.08.28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요약(데이터센터 부진) & 8월 말 PCE 빅이벤트: 월말 변동성 주의보 (8) | 2025.08.28 |
테슬라 사이버트럭 이슈 총정리 & TSLA 주가 피보나치 분석 (1)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