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태크 종합

채무조정제도 신청 요건 총정리

채무조정제도 신청 요건 총정리

빚 3,000만 원 이상일 때, 어떤 제도가 내게 맞을까?

 

 

채무조정제도 신청 요건 총정리


✅ 사례로 보는 채무조정 필요성

서울에 사는 A씨는 코로나 이후 가게 매출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카드 대출과 은행 대출이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현재 채무는 약 6,000만 원, 보유 자산은 1,000만 원 남짓. 월 소득은 있지만 최저생계비를 제하면 매달 변제할 수 있는 금액은 50만 원 수준에 불과합니다.

👉 이런 경우, A씨는 어떤 제도를 이용할 수 있을까요?
바로 채무조정제도입니다.

 


📌 채무조정제도란?

빚을 전액 갚을 수 없는 상황에서 채무자와 채권자 간 협의 또는 법원의 판단을 통해

  • 이자 감면
  • 원금 일부 탕감
  • 상환 기간 연장
    등을 조정해 현실적인 상환 계획을 세워주는 제도입니다.

🔎 채무조정제도별 신청 요건 상세

1. 신용회복위원회 (워크아웃·프리워크아웃)

  • 대상: 금융권 채무 연체자 (프리워크아웃은 30일 이내, 워크아웃은 31일 이상)
  • 채무 요건: 보통 1,000만 원 이상 채무
  • 자산 요건: 채무 > 자산
  • 소득 요건: 일정한 소득 존재 → 장기 분할상환 가능
  • 혜택: 연체이자 전액 감면, 이자율 최저 3~4%, 최장 10년 분할

2. 법원 개인회생

  • 대상: 꾸준히 소득이 있는 근로자·자영업자·연금 수급자
  • 채무 요건:
    • 무담보 채무 5억 이하
    • 담보부 채무 10억 이하
    • 보통 3,000만 원 이상 채무일 때 실익
  • 자산 요건: 보유 자산보다 채무가 커야 함
  • 소득 요건: 정기적 소득 → 최저생계비를 제외한 금액으로 3~5년 변제
  • 혜택: 일정 부분 변제 후 나머지 원금 탕감

3. 법원 개인파산

  • 대상: 소득도 없고, 자산도 거의 없는 경우
  • 채무 요건: 보통 3,000만 원 이상 채무
  • 자산 요건: 채무 > 자산 (상환 불가능 상태)
  • 소득 요건: 정기적 수입 없음
  • 혜택: 법원 면책 결정 시 모든 채무 소멸 (단, 세금·벌금 등 일부 제외)

4.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채무조정

  • 대상: 금융사에서 장기 연체된 채무자
  • 채무 요건: 수천만 원 이상 연체 채무 (캠코가 채권 매입한 경우)
  • 자산 요건: 상환 능력 부족
  • 혜택: 분할상환 협의, 일부 채무 감면

📊 인포그래픽 요약표

제도최소 채무 금액자산 조건소득 조건주요 혜택
신용회복위원회 약 1,000만 원 이상 채무 > 자산 일정 소득 필요 연체이자 전액 감면, 장기 분할
개인회생 3,000만 원 이상 (실익 있음) 채무 > 자산 정기 소득 필요 원금 일부 탕감, 3~5년 변제
개인파산 3,000만 원 이상 자산 거의 없음 소득 없음 채무 전액 면책
캠코 조정 수천만 원 이상 연체 상환 능력 부족 제한적 캠코 채권 조정, 일부 감면

💡 정리

  • 소득이 있다면: 개인회생
  • 소득이 전혀 없다면: 개인파산
  • 연체 초기: 신용회복위원회 워크아웃
  • 장기 연체자: 캠코 채무조정

👉 중요한 점은, 채무가 보유 자산보다 커야 하며, 소득 유무에 따라 제도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 결론

채무조정제도는 단순히 빚을 줄이는 제도가 아니라,
다시 사회·경제적으로 재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제도입니다.

미루지 말고, 현재 자신의 채무 상황과 소득·자산 조건을 객관적으로 따져보고,
신용회복위원회 상담(☎1600-5500)이나 법원 접수를 통해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최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