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E 발표 이후 안전자산 선호, 금시세 1돈 가격 향후 전망 및 엘리어트 파동 분석
1. 금시세와 매크로 환경
최근 발표된 미국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되는 흐름을 보여주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자극했습니다. 동시에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금은 장기 차트상 사상 최고가 부근에서 다시 한 번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자 금시세는 1g 당 153,708.99원으로 1돈 3.75g의 가격은 576,408.7원이 됩니다.
2. 엘리어트 파동 관점
10년 월봉 차트를 기준으로 1g의 금 시세를 엘리어트 파동으로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돈의 가격은 현 차트 가격에서 3.75를 곱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 1파: 39,750원에서 83,000원까지 상승
- 2파: 62,000원 부근에서 조정
- 3파: 최근 고점인 168,500원까지 강력한 상승
- 4파: 현재 진행 중으로 해석이 갈리는 구간
4파의 저점이 이미 139,000원에서 형성되었다고 볼 수도 있고, 아직 추가 조정이 남아 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3. 5파 예측 시나리오
4파 저점이 이미 나온 경우
139,000원에서 단기 조정이 끝났다고 본다면 5파는 3파보다는 짧지만 강한 상승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5파의 목표가는 200,000원에서 220,000원 구간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피보나치 확장 비율 1.236~1.382에 해당하는 구간입니다.
4파 조정이 아직 진행 중인 경우
긴 3파 상승 이후 조정이 더 길어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4파가 125,000원~135,000원 구간까지 내려와 저점을 형성한다면 이후 5파는 더욱 강한 상승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목표가는 220,000원에서 250,000원까지 확장될 수 있습니다.
4. 투자 전략 관점
- 단기적으로는 140,000원 초반 구간의 지지가 확인될 경우 5파 초기 진입 전략이 가능합니다.
- 중기적으로는 125,000~135,000원 구간에서 추가 조정 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합니다.
- 장기적으로는 안전자산 선호가 이어질 경우 금 시세는 200,000원 돌파 가능성이 충분하며, 최대 250,000원까지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결론
PCE 발표 이후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은 이미 장기 박스권을 돌파하며 엘리어트 파동의 5파 상승을 준비하는 흐름에 있습니다. 현실적으로는 두 가지 시나리오가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장기적인 상승 여력은 여전히 크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200,000원, 공격적인 관점에서는 250,000원까지 열어두는 전략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재태크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미래적금 총정리 – 가입조건부터 혜택까지 (0) | 2025.09.02 |
---|---|
PCE, 예상치 부합 — 큰 변동은 없지만 ‘월초·주초 관망 시기’ (2) | 2025.08.29 |
청년도약계좌, 지원 종료 소식과 가입 조건 총정리, 이율 9%대 서둘러 가입해야 (4) | 2025.08.29 |
채무조정제도 신청 요건 총정리 (1) | 2025.08.28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요약(데이터센터 부진) & 8월 말 PCE 빅이벤트: 월말 변동성 주의보 (8) | 2025.08.28 |
테슬라 사이버트럭 이슈 총정리 & TSLA 주가 피보나치 분석 (1) | 2025.08.26 |
세븐 스플릿 투자법에 이은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피보나치 0.5 구간에 근접하다 (3)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