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솜니아(SOMI) 코인, 업비트·빗썸 동시 상장! 프로젝트 개요와 투자 포인트 총정리

솜니아(SOMI) 코인, 업비트·빗썸 동시 상장! 프로젝트 개요와 투자 포인트 총정리

글에 앞서 바이낸스 빗썸 변동성 종목에 대한 유투브 운영 중이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C%9D%BC%EA%B8%88%EA%B7%9C%EC%9D%98+%EC%BD%94%EC%9D%B8+%EA%B2%80%EC%83%89%EA%B8%B0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EC%9D%BC%EA%B8%88%EA%B7%9C%EC%9D%98+%EC%BD%94%EC%9D%B8+%EA%B2%80%EC%83%89%EA%B8%B0

 

www.youtube.com

 

 

1. 개요 & 상장 소식

2025년 10월 1일, 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Upbit)빗썸(Bithumb)솜니아 (SOMI) 가 원화 마켓으로 신규 상장될 예정입니다. 블록미디어+1

  • 업비트는 오후 4시부터 KRW, BTC, USDT 마켓에서 거래를 시작하며, 상장 초기 변동성 완화를 위해 매수/매도 제한 등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블록미디어
  • 빗썸도 동일 시각 상장을 발표하였고, 3일간 거래 수수료 면제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블록미디어
  • 양 거래소 모두 입출금은 상장 공지 이후 약 2시간 이내부터 시작합니다. 블록미디어+1

이처럼 “국내 양대 거래소 동시 상장”이라는 점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본문에서는 솜니아 프로젝트의 핵심 구조, 토크노믹스, 강점과 리스크, 상장 전략 등을 깊이 있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2. 솜니아 (Somnia) 프로젝트 소개

2.1 비전 & 포지셔닝

솜니아는 게임, 소셜, 메타버스 등 실시간 상호작용형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인프라를 목표로 한 EVM 호환 레이어-1 (L1) 블록체인입니다. MEXC Blog+3BitKan.com+34Pillars+3

  • 특히 고속·대량 처리(throughput)와 낮은 지연(latency)을 중시하며, 1초 미만의 최종성(finality), 초당 수백만 건 이상의 트랜잭션 처리 (TPS) 등을 기술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4Pillars+4블록미디어+4IT Times+4
  • “꿈의 컴퓨터 (Dream Computer)”라는 슬로건처럼, 온체인 환경에서도 복잡한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지향합니다. 4Pillars+1
  • 기존 블록체인의 성능 병목 (처리 속도, 수수료, 지연 등)을 개선하면서도 EVM 호환성을 유지해 개발자 진입 장벽을 낮추려는 전략이 핵심입니다. 4Pillars+3BitKan.com+3MEXC Blog+3

2.2 주요 기술 구조 및 특징

솜니아가 내세우는 기술 및 아키텍처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술 요소설명
멀티스트림 합의 구조 데이터 생성 및 합의를 분리하여 처리 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동시다발적 요청을 더 잘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됨. 4Pillars+3블록미디어+3BitKan.com+3
병렬 실행 + 자체 EVM 컴파일러 하드웨어 수준의 병렬 처리와 전용 컴파일러를 통해 순차 실행을 가속화하려는 접근. 블록미디어+24Pillars+2
IceDB 또는 고성능 저장소 계층 온체인 상태 저장 및 처리 최적화를 위해 경량화 또는 압축된 데이터베이스 계층을 도입하는 구조가 언급됨. 4Pillars+3블록미디어+34Pillars+3
주소별 가스비 할인 곡선 + 동적 가격 조정 애플리케이션별 트랜잭션 빈도에 따라 가스비를 조정하고, 스팸 트래픽 억제를 위한 가격 인상 메커니즘도 포함. 4Pillars+34Pillars+3BitKan.com+3
임시 상태 저장소 (Transient / Ephemeral State) 자주 변경되는 단기 상태 데이터는 영구 저장 대비 비용을 낮춘 방식으로 처리 가능하게 설계됨. 4Pillars+2BitKan.com+2

이처럼 솜니아는 기술 스택 측면에서 고성능 실시간 앱에 특화된 구조를 갖추려는 시그널을 여러 곳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2.3 토크노믹스 (Tokenomics)

솜니아가 설계한 SOMI 토큰의 구조는 비교적 정교하며, 생태계 안정성과 가치 보존을 염두에 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총 발행량: 10억 개 (1,000,000,000 SOMI)로 고정 발행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4Pillars+24Pillars+2
  • 소각 메커니즘: 가스비로 지불된 수수료 중 절반은 소각되는 구조가 도입되어 있으며,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유통량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디플레이션 압력을 일부 반영합니다. 4Pillars+2BitKan.com+2
  • 가스비 할인 전략: 주소별 할인 곡선(discount curve) 모델과 가격 인상 함수(price increase function)을 결합하여, 높은 트랜잭션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앱(예: 게임 서버 등)에 대해 가스비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스팸 공격 시 가스비를 빠르게 조정하는 구조를 도입함. 4Pillars+2BitKan.com+2
  • 스테이킹 / 검증자 보상: 네트워크 보안과 운영을 위해 검증자(validator)가 일정량 토큰을 예치하고, 그에 대한 보상 메커니즘이 존재합니다. 4Pillars+2BitKan.com+2
  • 단기 설계의 유연성: 일부 임시 상태 저장 옵션이나 비용 우회 장치 등을 통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반복적인 상태 변화가 많은 작업을 저비용으로 처리하도록 설계함. 4Pillars+1

이 구조는 단순히 보상만 강조하는 전통적인 토큰 구조에서 벗어나, 실사용 기반 수요가치 유지를 중시하는 설계로 보입니다.

 


3. 강점 & 차별화 포인트

솜니아가 내세우는 강점 및 차별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성능 실시간 처리 지향
    • 게임, 메타버스, 소셜 앱 등 트랜잭션 빈도가 높고 지연 허용치가 낮은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구조를 목표로 함. MEXC Blog+3BitKan.com+34Pillars+3
    • 테스트 또는 퍼포먼스 클레임에서 초당 수백만 건 이상의 TPS 가능성을 언급한 보도들도 존재함. 4Pillars+3BeInCrypto+3IT Times+3
  2. EVM 호환성 유지
    • 기존 이더리움 기반 개발자들의 생태계나 도구(스마트 컨트랙트, 개발 툴 등)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EVM 호환성을 갖춘 설계임. BitKan.com+2MEXC Blog+2
    • 이를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개발자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이 보입니다.
  3. 토크노믹스 설계 및 디플레이션 요소
    • 가스비 소각, 할인 메커니즘, 검증자 보상 구조 등이 조합되어 있어 단순히 공급만 팽창하는 구조는 아닙니다. 4Pillars+1
    • 실사용이 많아질수록 유통량이 줄어드는 방향성은 가치 보존 측면에서 긍정적 시그널일 수 있습니다.
  4. 커뮤니티 / 생태계 지원 프로그램
    • 해커톤, 인큐베이터, 보조금 프로그램 등을 통해 개발자와 프로젝트 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라는 언급이 존재합니다. BitKan.com+2MEXC Blog+2
    • 낮은 진입 장벽과 초기 자금 지원을 통해 다양한 앱/게임 프로젝트들이 솜니아 위에서 실험해볼 기회를 제공하는 전략이 보입니다.
  5. 국내 상장 전략 효과
    • 한국의 대형 거래소 동시 상장은 국내 유동성과 인지도를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움직임입니다.
    • 특히 업비트와 빗썸 양쪽 상장은 국내 사용자들에게 쉽게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한국 시장 집중 전략이라는 해석도 가능할 겁니다.

4. 리스크 및 유의점

프로젝트가 아무리 매력적이어도 리스크 요인도 반드시 짚고 가야 합니다. 솜니아 관련 주요 리스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술 구현 리스크 & 검증 부족
    • 현재까지 발표된 기술 구조나 클레임은 매우 야심찬 수준입니다. 실제 메인넷 운영 시 병목, 오류, 보안 결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병렬 실행, 멀티스트림 합의, 저장소 최적화 등은 복잡성 요소가 많으므로 구현과 안정성 확보가 도전입니다.
  2. 네트워크 활성화 & 생태계 확보
    • 아무리 기술적으로 우수해도 실제로 많은 dApp, 게임, 소셜 서비스의 유입이 없으면 네트워크는 빈 껍데기로 남을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확보, 유입 비용, 온보딩 경험 등이 중요하게 작용할 겁니다.
  3. 경쟁 체인들과의 경쟁
    • 이미 존재하거나 막 성장 중인 게임 / 메타버스 특화 체인들이 많습니다. 예: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게임 중심 L1/L2 체인 등
    • 이들과의 기술, 생태계, 파트너십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 있습니다.
  4. 규제 리스크 및 국내 법적 환경 변화
    • 한국에서 암호화폐 관련 규제가 변화할 가능성이 상존하며, 상장 이후에도 규제 이슈나 사업자 요건 변화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특히 프로젝트의 백서, 정보 공개, 법적 준수 여부 등을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5. 초기 가격 변동성과 유동성 리스크
    • 상장 직후에는 투기 수요가 몰리거나 매도세가 급격히 나올 수 있으므로 가격 변동성이 큽니다.
    • 거래 제한 조치, 매수/매도 제한, 지정가 주문만 허용 등의 초기 제약이 투자자에게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블록미디어+1

5. 상장 전략 & 초기 거래 조건

상장은 단순히 거래소에 토큰을 등록하는 것 이상의 전략적 의미를 가집니다. 솜니아의 국내 상장 관련 전략적 요소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동시 상장 효과: 업비트와 빗썸 동시 상장은 국내 유동성 확보 및 마케팅 측면에서 강한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 거래 제한 및 안정화 장치
      - 업비트: 매도 주문은 기준가(전일 종가) 대비 –10% 이하로는 제출 불가, 상장 직후 일정 시간 동안 매수 주문 제한, 지정가 주문만 허용 등의 조치 도입. 블록미디어
      - 빗썸: 동일하게 상장 초기 5분간 매수 제한, 매도 제한 (+100% 이상 또는 –10% 이하 제약), 약 2시간 지정가 주문만 허용 등. 블록미디어
  • 수수료 면제 이벤트: 빗썸은 상장일부터 3일간 거래 수수료를 면제하는 이벤트를 시행해 초기 유입을 유도합니다. 블록미디어
  • 기준가 책정 및 기준 토큰: 빗썸에서는 기준가를 1,000원으로 책정했다는 발표가 나왔고, 이 기준을 중심으로 초기 흐름이 형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블록미디어
  • 입출금 제한 & 메인넷 직접 운영: 빗썸 공지문에는 “자체 메인넷을 통해 입출금이 가능하며, 타 네트워크를 통한 입금은 지원되지 않는다”는 안내가 있어 투자자 주의가 필요합니다. 블록미디어
  • 변동성 완화 장치: 업비트 역시 초기 변동성 완화를 위해 최저 매도가 제한 등을 도입하겠다는 공지를 했습니다. 블록미디어

이런 전략들은 상장 초기의 “과열” 혹은 “급락”을 어느 정도 방어하면서 안정적인 시장 진입을 도모하려는 의도입니다.


6. 전망 & 관전 포인트

6.1 중장기 성장 가능성

  • 만약 솜니아가 초기 기술 클레임을 실제 운영 수준으로 안정화할 수 있다면, 게임/메타버스/소셜 앱 중심 블록체인 시장에서 비교적 차별화된 위치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국내 시장에서의 강한 인지도 확보와 유동성 확보가 성공한다면, 한국이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 토큰 소각 / 디플레이션 구조, 높은 실사용 중심 설계 등이 실현되면 가치 유지 측면에서도 긍정 영향을 줄 여지도 있습니다.

6.2 주의해야 할 관전 포인트

  • 실제 TPS, 지연, 안정성 등이 발표된 클레임 수준에 근접할지 여부
  • 개발자 및 dApp 유입이 얼마나 빠르게 이뤄질지
  • 국내외 규제 변화 및 사업 모델의 법적 타당성
  • 상장 직후 초기 유동성 흐름 및 대량 매도세 발생 가능성
  • 커뮤니티 반응 및 사용자 경험 (지갑 지원, 온보딩 절차, 수수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