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락업 해제와 알트코인 숏 전략: 공급 쇼크 활용하는 실전 가이드
1) ‘대량 락업 해제’의 의미와 왜 위험한가
락업(lock-up)은 토큰을 일정 기간 시장에 내놓지 못하게 묶어 두는 베스팅(vesting) 장치다. 보호예수 해제처럼 한날한시에 대량 물량이 풀리면, 유통량이 급증하면서 가격에 하방 압력이 걸리기 쉽다. 특히 해제 물량이 (a) 유통량 대비, (b) 일일 거래대금 대비, (c) 시가총액 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경우 충격이 커진다. 연구·리서치에서도 대부분의 해제 이벤트가 부정적 가격압력을 야기하고, 규모가 클수록 하락폭·변동성도 커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또한 해제 30일 전부터 영향이 시작된다는 관찰도 보고되어, 선행 대응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2) ‘펌핑 후 덤핑’에 대비하기
대형 해제를 앞두고 사전 랠리(펌핑) 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기대감·마케팅·서사 만들기 등이 겹치면 단기 급등이 발생하고, 해제 직후 대기 매물이 맞물리며 급락·넓은 변동성이 연출되곤 한다. 이 구간에서 숏 포지션은 유리해질 수 있으나, 변동성 확대가 필연이므로 진입은 분할로, 손절은 기계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영향이 해제 30일 전부터 관찰된다는 점을 고려해 T-30일 부근부터 가격/거래대금 비정상 팽창, 고점 갱신 실패, 파생시장의 펀딩비·OI 과열 등을 함께 본다.
3) 비트코인 추세 필터와의 결합
알트코인의 하락 베타는 대형 코인보다 크다. “대량 해제 예정” + “BTC 약세/조정” 조건이 겹치면 알트 숏의 기대값이 높아지는 일이 잦다. 반대로 BTC가 추세 전환 신호를 강하게 내는 국면에선 해제 악재가 희석되거나 숏 스퀴즈 위험이 커지므로, 포지션 크기와 레버리지를 낮춰야 한다.
4) 실제 사례로 보는 접근법
- SUI (2025-08-01)
8월 1일 예정된 대형 해제는 월간 최대 규모로 지목되었고, 일정 직후 단기 급락이 보고됐다. 보도에 따르면 8월 초 해제 규모가 약 $160–210M대였고, 하루 낙폭이 20%대까지 관측되었다. 일정 자체는 사전에 널리 공유되었으며, “높은 FDV 대비 낮은 유통 비율” 구조에서 해제 리스크가 강조됐다. - TRUMP 토큰 (2025-07 중순)
7월 셋째 주에 약 $9억 규모 해제가 예정되어 주목을 받았고, 시장에선 공급 급증으로 인한 변동성 확대·하락 위험을 경계했다. 주간 단위로도 수백만 달러 수준의 해제가 거론되며 관심이 집중되었다. - Arbitrum (ARB, 2024-03-16)
11억 ARB(약 $10억+) 의 ‘클리프’ 해제가 예고된 대표 사례. 이후 추가 월간 해제(수천만 ARB)도 이어져 반복적 과잉 공급 이슈가 부각되었다. 이벤트 직후 거래소 유입·가격 변동 확대가 관찰됐다는 보도도 있다. 이처럼 대규모 1차 클리프 + 연속 해제 조합은 하락 추세 연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 Aptos (APT, 매월 12일 전후 반복 해제)
APT는 월 주기(약 1,100만 APT) 의 정례 해제가 이어지는 구조다. 반복 해제는 지속적 오버행(매도 대기 물량) 으로 작용하기 쉬워, BTC 약세 구간과 겹치면 숏 공략 후보가 된다. 2025-08-12 전후에도 약 $50–60M 해제가 잡혀 있다.
위 사례들은 “해제 규모가 상대지표(유통량·일일 거래대금·시총) 대비 얼마나 큰가”가 핵심이며, 일일 거래대금의 100%±에 근접·초과하는 이벤트일수록 2주 내 추가 하락 빈도가 높다는 연구도 참고할 만하다.
5) 일정·데이터 확인에 유용한 캘린더와 대시보드
- Tokenomist.ai: 클리프/리니어 구분, 다음 7일 대형 해제 묶음, 토크노믹스 비교까지 한 화면에서 확인. Tokenomist+1
- CryptoRank – Token Unlocks: 달력/목록형, API 제공, 토큰별 베스팅·남은 물량·다음 해제일 표기. CryptoRank
- DropsTab – Vesting Dashboard: 라운드별(팀·VC·커뮤니티 등) 베스팅 히스토리와 남은 일정 시각화. DropsTab
- Messari – Token Unlocks: 자산 페이지에서 해제 이력과 가격을 겹쳐보며 영향 확인 가능. docs.messari.io
- DeFiLlama – Unlocks: 가까운 시일의 대형 이벤트 랭킹을 한눈에. DefiLlama
6) 올해 연말(8–12월)까지의 관찰 포인트(예시 기반 워치리스트 만들기)
- APT: 8월 12일 전후 약 1,131만 APT 반복 해제. 이후에도 월간 규칙적 해제 지속. 반복 이벤트는 약세장과 결합 시 숏 후보 1순위가 되기 쉽다.
- ARB: 2025-08-16 팀/어드바이저 배정분 해제 일정이 캘린더에 표기. 연속 해제 로드맵 확인 필수.
- SEI: 2025-08-15 팀 물량 해제 예고(토크노미스트). 섹터(레저/인프라) 내 동조화도 점검.
- SUI: 8월 초 대형 해제 직후 낙폭 확인. T+7~14일 구간의 2차 눌림 여부를 추적해 재진입/청산 시점 판단.
위 일정은 예시이며, 프로젝트 공지·거버넌스·대시보드 업데이트로 변경될 수 있으니, 포지션 진입 전 해제 주체(팀/VC/커뮤니티), 정확한 수량·시간(UTC), 추가 연속 해제 여부를 재확인하자
7) 이벤트 선별 체크리스트(숏 후보 압축)
- 상대규모: Unlock/Float(≥10%), Unlock/Daily Volume(≥50% 경계, ≥100% 고경계), Unlock/Mcap 순으로 우선순위.
- 해제 주체: 팀·VC 물량 위주면 단기 매도 성향이 강한 편. 커뮤니티·에코 물량은 분산 출회 가능성.
- 연속성: 이번 해제 이후 1–3개월 내 추가 클리프가 이어지는지.
- 가격·수급 선행 신호:
- 해제 30~10일 전 고점 갱신 실패 + 거래대금 피크아웃,
- 파생시장 펀딩비 양(+) 과열 + OI 급증,
- 온체인 대형 지갑→거래소 유입 증가.
- BTC 필터: BTC가 50/100일선 아래이거나 하락 추세선 저항 하단일 때 가중치 상향.
8) 진입·청산·리스크 관리 로직
- 진입(분할·스태거드)
- T-21일: 초기 0.5R(계정 리스크 단위) 작은 숏.
- T-7일: 고점 갱신 실패·OI 과열 시 0.5R 추가.
- T-1~T일: 당일 펌핑(스퀴즈) 발생 시 확인 후 추가(0.5R); 변동성 리스크를 가격으로 보상받는 구조를 선호.
- 총 노출 상한: 종목 분산을 포함해 계정 대비 1~3% 리스크 예산 내.
- 청산(목표·트레일링)
- 1차 목표: 해제 전후 단기 하락폭 -10%~-20% 구간 일부 실현.
- 2차 목표: T+7~14일 저점 재확인/이탈 구간.
- 시간 손절: T+21일 경과 시 기대 알파 소멸로 보며 전량 정리. (2주 내 추가 하락 경향 참고)
- 손절·레버리지
- 손절은 시장가·기계적 실행(해제 전 고점 상회/구조적 저항 돌파 시).
- 유동성 얕은 종목은 레버리지 축소, 포지션 크기 축소로 슬리피지·강제청산 리스크 관리.
- 변수 대응
- 해제 연기/분할, 바이백, 스테이킹 개편 등 토크노믹스 변경은 즉시 시나리오를 축소·폐기.
- 온체인 라벨링(재단/VC 지갑)과 거래소 입금 태그를 모니터링해 대기 매도 전조를 포착.
9) 주간 운영 루틴(실전 워크플로우)
- 월·주간 캘린더 스크리닝: Tokenomist / CryptoRank / DeFiLlama / Messari에서 T-30~T+14일 범위 후보 수집.
- 상대규모 지표 계산: Unlock/Float, Unlock/DV, Unlock/Mcap 간단 계산표(스프레드시트)로 우선순위 부여.
- 가격·파생·온체인 확인: 펀딩비·OI 과열, 거래대금 피크아웃, 지갑→거래소 유입 감지.
- 분할 진입/증액·감액: BTC 추세 필터로 가중치 조정.
- 사후 점검: T+7·T+14 성과 리뷰, 승률보다 기대값(손익비) 유지에 집중.
- 연속 해제 대응: 같은 종목의 다음 해제를 미리 캘린더에 표시, 재공략/재평가 루틴을 고정.
핵심 정리
- 대량 해제는 높은 확률로 부정적 가격압력을 만든다. 영향은 T-30일부터 시작될 수 있다.
- 사례: SUI(8/1) 대형 해제 직후 급락, TRUMP(7월) 수억 달러급 해제 이슈, ARB(2024/3/16) 초대형 클리프 및 연속 해제, APT(매월 12일 전후) 반복 해제.
- 선별·설계: Unlock/Float·Unlock/DV·Unlock/Mcap이 큰 이벤트만 추출 → BTC 약세 필터 결합 → 분할 숏·시간 손절(T+21) → 변수(연기·바이백 등) 발생 시 즉시 축소.
- 캘린더/대시보드: Tokenomist, CryptoRank, DropsTab, Messari, DeFiLlama로 일정·규모·연속성·과거 반응까지 상시체크.
'자동 매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초가, 종가 투자에 유리한 시간대: “끝과 초”를 잡는 법 (10) | 2025.08.13 |
---|---|
유동성 중심 종목 선정 실전 가이드 (4) | 2025.08.13 |
아비트리지 전략의 현실과 제약 사항 – 실전 적용기 (5) | 2025.08.12 |
파동을 이용한 상장폐지 예측과 저점 확인 전략 (2) | 2025.08.11 |
자동매매와 연계한 현물 레버리지 전략 (2) | 2025.08.10 |
투자 계좌 “분리 운영”의 모든 것 with 자동매매 (8) | 2025.08.09 |
멀티 알트코인 트레이딩 시스템 구현 (6) | 2025.08.08 |
주식의 배당처럼, 코인의 이자를 받는다? 코인 스테이킹과 ATOM 투자전략 (7) | 2025.08.07 |